본문 바로가기
부담없는 투자방법

다가오는 4월! 치루게될 총선! 갈 놈은 누구더냐~

by 일곱색깔 2024. 3. 22.
반응형

3월 엔비디아 개발자 회의로 

AI 이벤트가 지났고 

밸류업 프로그램 2차 발표는 

총선 후5월로 예정돼 있습니다. 

그 사이 기업들의 1분기 실적이 발표됩니다.

 

4월의 1분기 실적은 주식시장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4월에 실적을 발표하는 기업들은KOSPI 전체의 16%에 불과하지만 

이익 비중은 63%입니다. 

중요도가 높은 기업들이 실적발표를 먼저 하기 때문에 

그 해 업황 전반을 가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2016년부터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보면 

1분기와 2분기는 기업들의 실적이 컨센서스를 웃돌았고 

3분기는 컨센서스를 하회할 확률이 높았습니다. 

 

즉 1, 2분기는 실적 모멘텀이 통합니다. 

그리고 4, 7, 10월에 실적발표를 하는 기업들이 

5, 8, 11월에 실적발표를 하는 기업들보다 

서프라이즈율이 높았습니다.

 

실적 모멘텀으로 

주식시장에서 승률을 높이는 건 

사전확률을 높임으로써 가능해 보입니다. 

 

실적을 늦게 발표하는 기업보단 일찍 발표하는 기업이, 

실적 컨센서스가 떨어지는기업보단 올라가는 기업이 

우선 순위가 될 수 있습니다.

 

1분기 실적발표를 4월에 하는 기업들의 

실적 서프라이즈 비율은 49%였습니다.

2월말부터 3월말까지 실적 컨센서스가 상향되는 기업들로

선택지를 좁히면 서프라이즈 비율은73%로 오릅니다.

 

즉 실적 기대감이 있는 종목들이

실제로 서프라이즈를 낼 확률이 높습니다.

실적 서프라이즈는 주가에도 녹아듭니다.

 

2016년 이후 KOSPI의 4월 주가는 평균 2.5% 올랐습니다.

3월 한달 동안 추정치가 올라온 기업들 중

4월에 실적발표를 한 기업들은

4월주가가 평균 7.2% 올라 시장을 이겼습니다.

 

이런 패턴은 2분기와 3분기에도 나타나지만

그 강도는 1분기에 가장 높았습니다.

 

그래서 4월에 실적발표를 해온 기업들 중

지금 실적 추정치가 상향되고 있는 기업들에

주목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3월 들어 1분기 영업익 추정치가 상향된

KOSPI 기업은 51개로 파악됩니다.

산업재, IT, 소비재 비중이 높습니다.

이 중 16개 기업은 지난 3년동안 1분기 실적발표를

4월에 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IT와 산업재 기업들입니다.

SK하이닉스, LG이노텍, LG에너지솔루션은

3월에만 1분기 영업익 추정치가 10% 넘게 상향됐고

한화시스템, 삼성전자, 삼성전기 등은

추정치가 3% 이상 올랐습니다.

 

최근 주가가 많이 오른 종목들도 있지만

오히려 실적 서프라이즈를 낼 가능성이

다른 종목들보다 높기 때문에 

계속 관심을 둘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밸류업 주식들은 2월부터 오르기 시작해

3월엔 상승탄력이 둔화되었습니다.

 

주식시장 일각에서는 3월 주주총회를 거치고

4월 10일 총선이 다가오면서

모멘텀을 소진해가고 있다는 우려가 존재합니다.

정치는 경제에 영향을 미치지만 선거결과가

주식시장 방향을 바꿨던 적은 없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여소야대, 여대야소 상황에서 국내 주식시장의 평균 수익률은

10% 전후였습니다.

 

심지어 KOSPI, KOSDAQ 간 수익률 격차도 없었습니다.

선거결과를 예측하면서 포지션을 정하는건 큰 의미가 없습니다.

지난달 주식시장을 전망하면서 밸류업이 성공하려면

제도개편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제도는 개편될 것으로 기대하며,

선거결과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봅니다.

 

특히 부동산 시장이 침체에 빠져있기 때문에

가계의 돈이 국내주식으로 흘러갈수 있게 해줘야 한다는

공감대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밸류업은 총선이 끝나도

밀리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목은 받지만 과열조짐이 없습니다.

KOSPI 신용잔고가 10조원을 웃돌아

작년 8월 중순 수준까지 늘었습니다.

 

신용증가를 견인한 종목은

셀트리온,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삼성SDI 등입니다.

현대차, 삼성물산을 빚내서 산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밸류업이 주식시장의 주도주로 부상하려면

주식시장 바깥에서 변화가 있어야 합니다.

 

밸류업의 핵심은 기업의 ROE가 높아지는 것인데,

한국 주식시장 역사에서 한번도 보지못한 일은 아닙니다.

KOSPI의 ROE는 2001년 2.5%에서

2004년 14.7%로 상승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시황도 좋았지만 대우그룹이 파산하면서

기업들이 부채를 줄이고 대기업들간 빅딜이 일어났기 때문이었습니다.

그 결과 3년만기 AA- 등급 회사채 금리가

2001년 6.9%에서 2004년 4.5%까지 떨어졌습니다.

ROE 14.7%, 회사채 수익률 4.5%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채권자에서 주주가 되기로 했습니다.

 

20년 전과 달라진 건 부채를 줄이는 게 아니라

자본을 줄인다는 점입니다.

 

기업들은 투자와 배당, 자사주 소각 가운데

ROE를 높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무엇인지

주주들을 설득해야 합니다.

아마도 투자자들은 배당지급 자사주소각을 더한

주주환원 수익률과 무위험수익률을 비교해서

더 높은 쪽에 투자할 것입니다.

 

S&P500의 2022년 주주환원 수익률은 4.6%였고,

작년엔 3.4%였습니다.

10년 국채금리와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한국의 주주환원 수익률은 배당 수익률에

0.5%p를 가산하면 되는데,

올해 예상 배당 수익률이 2.34%이므로

대략 2.8 ~ 2.9% 수준일 것입니다.

3년 국 고채 금리는 3.4% 부근입니다.

 

밸류업 프로그램이 지금보다 주주환원을 강화시키거나

국고채 금리가 하락한다면

주식 시장 전반을 들어올릴 힘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한화투자증권 김수연 연구원 - 출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