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보이는 경제상식

바닥을 다졌나요? 그럼 잘 보고 들어갑니다!

by 일곱색깔 2024. 5. 1.
반응형

올해 들어 영화관이 다시 복닥복닥해졌습니다.

극장 모객효과에는 자국 영화의 흥행 만한 것이 없는데,

연초 <파묘> 흥행에 이어 <범죄도시4> 시리즈까지

연이은 분기 천만 영화들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박스오피스(BO)와 관객수는 2019년 대비 회복률을 비교해보면,

BO: 19 vs. 22년 61% ⇒ 23년 66% ⇒ 24년 누적(1/1~4/28) 67%

관객수: 19 vs. 22년 50% ⇒ 23년 55% ⇒ 24년 누적(1/1~4/28) 59%

2019년 1~4월만 회복률을 비교해보면,

BO: 19년 1~4월 vs. 24년 1월 49% ⇒ 2월 39% ⇒ 3월 87% ⇒ 4월 103%

관객수: 19년 1~4월 vs. 24년 1월 43% ⇒ 2월 35% ⇒ 3월 78% ⇒ 4월 88%

 

극장 회복의 수혜를 받는 대표 종목은

CJ CGV, 콘텐트리중앙(메가박스)인데,

이들의 실적은 단순한 시장 성장보다 레버리지가 큽니다.

관객수 회복 ⇒ 더 높은 ATP 기여 ⇒

상영매출 성장 ⇒ 집객효과에 따른 고마진 평균매점매출 및

상영전 광고 단가 상승의 선순환이 이뤄지기 때문입니다.

 

동시에 임대료, 인건비 등의 고정비용이

늘어난다는 단점도 있지만,

1H24에는 코로나19 기간에 쌓였던

리드타임이 긴 구작(재고)들이 소화되고 있고,

하반기에는 현재의 시대상과 트렌드에 맞는

신작들이 개봉을 앞두고 있어

영화관의 활기는 이어질 전망입니다.

 

국내 1등 극장사업자인 CJ CGV는

순수 시장 회복과 결을 같이 합니다.

투자 / 배급  / 제작을 별도로

갖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국내 매출비중이 절반,

해외(중국/베트남/튀르키예/인도네시아/4D 등) 극장 사이트 매출비중이

나머지 절반이기에 글로벌 극장 시장의 환경을

모두 다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CJ CGV의 1Q24 연결 매출액은 4,016억, 영업이익은 92억원으로

이익 기준 시장 기대치를 두 배 이상 상회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국내 박스오피스는 최근 들어 빠르게 회복되고 있지만,

1Q24만 국한해서 보면 고정비를 커버할 정도의

관객수는 아니기에 적자가 불가피하나,

그 규모는 대폭 축소(CGV 별도 1Q23 -198억 ⇒ 1Q24 -49억원)된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익은 대부분 프리미엄 전략을 고수하고 있는

해외 사이트에서 벌었습니다.

중국의 소폭 적자를 제외하면

특히 <파묘>가 흥행했던 베트남이

100억원을 넘게 벌어 호조세를 이어갔고,

튀르키예, 인도네시아도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타 경쟁사들과 가장 큰 차이점이자

동사만의 경쟁력을 지닌 사업부는 4D인데,

작년에는 BTS가 CGV에 단독 개봉(CGV only contents) 했던

기저효과로 이익 감소가 예상되나,

흑자 기조는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따라서 글로벌 박스오피스 및 관객수는

한국보다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상황으로 보여집니다.

코로나19처럼 큰 이슈가 발생해 영업이 중단될 시,

해외 사이트 투자를 많이 한 CGV의 디레버리지가 부각되는 반면,

이렇게 업황이 차츰 돌아설 때면

경쟁사 대비 실적 레버리지가 가파른 것이 특징입니다.

 

이미 19년 대비 23년 매출 회복률은 4D 111% /

베트남 99% / 중국 85% / 튀르키예 80% / 인도네시아 78%에 달합니다.

 

올해는 더 가속화된 리오프닝 회복률,

구작 재고 소진에 따른 신작 영화 개봉 외에도

기존의 CGV 비용 통제 및 프리미엄 전략,

고마진 광고비중 확대,

그리고 새롭게 반영되는 올리브네트웍스 효과(반개 분기 가정)로

최대 실적(24F 연결 매출액은 18,372억, 영업이익은 1,313억원(OPM 7.1%))을

기록할 것이라는 기존 예상됩니다.

 

(신한투자증권 지인해 연구위원  - 출처)

반응형